디지털/디지털금융

RDA (Robotic Desktop Automation) 개념을 알아보자!!

박혬 2022. 7. 30. 12:36

RDA (Robotic Desktop Automation) 개념이 여러 디지털관련 산업에서 등장하고 있다.
우리가 지금까지 많이 접해왔던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와는 다른 개념이다.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로보틱처리 자동화를 의미하며, 사람이 컴퓨터를 활용하여 단순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화하는 기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9277&docId=6211918&categoryId=67996

 

로보틱 처리 자동화

사람이 컴퓨터로 하는 반복적인 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화하는 기술. 로보틱 처리 자동화(RPA)는 로봇이나 소프트웨어(SW) 등으로 비즈니스, 노동 등 업무를 실행하는 기술이다. 로보

terms.naver.com

그렇다면, RDA (Robotic Desktop Automation) 어떤 개념인지 알아보자.
용어에서 딕션의 차이만 보자면 RDA의 'D'와 PRA의 'P'의 차이가 있다.
즉 RPA는 Process VS RDA는 Desktop 이다.

용어만으로는 차이점을 알 수가 없으니, 사용되는 의미의 차이를 알아보자.
RPA에는 프로세스적인 자동화 또는 데스크탑과 반대되는 공통의 서버에서의 작업이나
공통의 업무관리 측면으로 볼 수 있다.
반대로, RDA는 개인업무의 자동화 즉 지엽적으로 자신 앞의 데스크탑의 처리의 개념으로 보인다.

즉, RPA는 공통의 업무를 관리하는 조직차원의 업무 자동화이며, RDA는 조직내의 개개인의 개별업무의
자동화로 보면 이해가 쉬울 것 같다.

RPA vs RDA

현재 ‘개인 비서형 로봇’ 이라고도 불리고 있는 RDA는 개입업무의 생산성 향상에 집중하는 것으로
이를 RPA 3.0으로 정의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요즘 기업에서는 주52시간 업무가 이슈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수단으로 사용 될 수 있겠다.
즉 디지털 노동력(Digital Workforce)를 활용하여 많은 양의 업무를 정확하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지는 기업에서는 이제 RPA와 함꼐 RDA 솔루션 또한 도입하여 운영해야 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기업의 업무형태에 따라서 PRA와 RDA를 적재적소에 도입하여 진정한 반복되는 업무의 자동화를 이루어야 한다.

그래서 실제 시장에서 RDA 프로세스 도입하는 기업 또는 RDA사업을 하는 곳이 있나 알아보았다.

여러 서치를 통해,
소프토모티브 라는 회사를 찾았다.
소프토모티브는 그리스에서 설립돼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둔 RPA 전문기업으로, 전세계 7000여개 고객사를 두고 있다. 2005년 설립된 이 후 아테네, 런던, 미국 뉴욕, 인도 방갈로 등에도 지사를 두고 전세계로 사업을 확장해나가고 있다고한다.

이러한 소프토모티브는 한국에서 2017년에 KB금융그룹을 첫 고객으로 확보한 뒤 은행, 증권, 카드 등 6개 부문에 RPA를 적용, 확장하고 있고 롯데제과, 풀무원, CJ푸드빌, 롯데마트 등 제조, 유통, 서비스 등 다른 분야까지 넓히면서 현재 국내에서 40여곳의 고객사를 두고 있다.

현재 소프토모티브는 전체 사업 매출 가운데 40%가 RDA에서 창출되고 있으며, 지금까지는 RPA 비중이 60%로 많지만 향후 RDA 비중이 점차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소프토모티프 최고경영자
스타브로폴로스 CEO에 따르면,

"그동안 중앙집중식으로 추진한 RPA를 넘어 앞으로는 사용자 스스로 원하는 방식으로 프로세스를 만들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RDA가 차세대 기술로 도입되면서 자동화 혁신이 일어날 것”이라며 “소프토모티브는 RPA뿐 아니라 RDA 변혁을 수행할 기술 수단과 방법을 함께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해당 자료는 하단의 디지털 데일리의 기사와
Byline Network 기사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http://m.ddaily.co.kr/m/m_article/?no=240922

 

‘개인’ 업무자동화 핵심… 'RDA'와 '프로세스 마이닝', 왜 중요한가 [기획/ 2022 금융IT- RPA③]

* 본 기사는 디지털데일리가 7월초 발간할 예정인 [2022년 디지털금융 혁신과 도전]에 게재된 내용을 재편집한 것으로, 편집사정상 책의 내용과 일부 다를 수 있습니다.최근 ‘개인 비서형 로봇’

www.ddaily.co.kr

소프토모티브 CEO “RPA 넘어 RDA로 차별화...한국 투자 지원 강화” - Byline Network

 

소프토모티브 CEO “RPA 넘어 RDA로 차별화...한국 투자 지원 강화” - Byline Network

글로벌 로보틱프로세스자동화(RPA) 기업인 소프토모티브가 한국 시장 공략을 본격 강화한다. 중앙집중식으로 업무 자동화를 지원하는 RPA를 넘어 사용자가 직접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해 사용

byline.network